타란티노 영화팬이기 때문에 이 영화에 대한 저의 기대치는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높았습니다. 기대치가 너무 높았기 때문 일까요? 영화를 보고난 뒤 실망감을 감출 수가 없었습니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는 아는 만큼 보이는 영화입니다. 사전지식이 충분하다면 이 영화의 여러가지 레퍼런스들을 즐기며 감탄을 연발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반대로 해석하면 그만큼 진입장벽이 높은 영화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전 타란티노 영화들이 오마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긴 했지만, 오마쥬는 보너스 개념이었지 영화 자체를 즐기는데 관여하진 않았습니다. 반면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는 관객들이 '폴란스키가 살인사건'에 대한 사전지식을 구비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주제를 정하고, 내용을 전개해나갑니다. '폴란스키가 살인사건'만 해도 관객의 부담이 상당한데 여기에 '60년대 할리우드'라는 배경이 갖는 중요성마저 상당히 큽니다.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두고 타란티노가 60년대 할리우드에 보내는 러브레터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19년을 살아가는 관객들 중 이 테마에 공감할 수 있는 관객들이 몇이나 될까요? 영화내에는 60년대 영화와 TV쇼에 대한 레퍼런스가 넘쳐납니다. 이러한 레퍼런스들은 영화학도나 평론가가 아닌 이상 100% 이해가 힘듭니다. 60년대 헐리우드 영화나 TV쇼가 현재만큼 전세계적으로 보급되지 않았던 상황을 감안하면 60년대를 보낸 한국노인들도 이 영화에 공감하긴 힘들거예요. 영화내에서 당시 시대상이나 무비 메이킹에 대해 최선을 다해 설명해주긴 하지만 관객들이 바란것은 '타란티노 영화'이지 '타란티노의 영화사 해설'이 아닙니다. 결국 영화는 초반부부터 지루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영화의 메인 이벤트인 찰스 맨슨의 스토리라인은 사전지식 문제와 별개로 메인 스토리라인을 계속 겉돌기 때문에 재미가 떨어집니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는 초중반 찰스 맨슨 패밀리가 찔끔찔끔 등장하며 떡밥을 뿌려대다가 후반부 주인공 일당과 엮이면서 3막을 장식하는 구성을 갖고 있습니다. 초중반에 이 두 스토리라인이 너무 따로 놀다보니 3막에서 메인 스토리라인과 합쳐지는 과정도 이전 타란티노 영화들처럼 무릎을 탁치게 만드는 시원함이 부족합니다.[각주:1] 영화적 구성에서 영리함과 재치를 잃어버리니 타란티노만의 개성도 죽고, 퇴보한 느낌마저 듭니다.

 이동진 평론가는 이 영화에서 찰스 맨슨 사건을 끌어온 이유가 찰스맨슨 사건을 통해 60년대 미국의 이상주의가 막을 내렸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이 사건이 미국 사회문화 전반에 끼친 충격여파를 생각하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해석입니다. 그런 주제의식 측면에서 60년대 할리우드란 배경과 '폴란스키가 살인사건'은 훌륭한 조합이라 생각하지만, 주제의식을 구현하는 영화 속 실행과정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았습니다. 지루한 초중반을 견딘 관객들한테 후반부가 팡 터져줘서 카타르시스라도 느끼게 해줬어야했는데 이번 영화는 그마저도 신통치가 않습니다. 후반부가 그나마 우리가 익히 알고있던 타란티노 영화의 진수에 가장 가깝긴 하지만, 타란티노의 장기인 인물들의 맛깔스런 대화나 심장을 쫄깃하게 만드는 서스펜스도 예전같지 않습니다.

 타란티노 감독은 드물게 아는 자와 모르는 자를 모두 만족시켰던 감독입니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에서 처음으로 그는 그 균형을 깨뜨리고 좀 더 편향적인 작품을 탄생시켰습니다. 어차피 영화란 주관적인 매체이니 그의 선택을 두고 옳고 그름을 따지는 건 무의미할 겁니다. 하지만, 대중의 입장에서 섭섭함을 숨기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1. 3막에서 시전되는 '비틀기'는 철저히 관객들의 '폴란스키가 살인사건'에 대한 사전지식에 의존합니다. [본문으로]
: